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 3D 프로젝트에 적합한 모델링 기술 비교

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 3D 프로젝트에 적합한 모델링 기술 비교

13 Jun, 2024

3D 모델링 분야에서는 실제 물체와 환경의 세부적인 디지털 표현을 캡처하고 생성하는 여러 첨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건축, 엔지니어링,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산업에 혁신을 가져와 정밀하고 효율적인 모델링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가장 두드러진 기술 중에는 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이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정확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지만, 사용하는 접근 방식은 크게 다릅니다. 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의 장단점을 확인하고 귀하의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 무엇인지 알아보세요.

Photogrammetry vs Laser Scanning

포토그래미트리 (사진 측량) 기술이란 무엇인가요?

포토그래미트리는 사진을 활용하여 물리적 물체나 환경의 특징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기술입니다. 포토그래미트리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여러 이미지를 분석하여 물체나 장면의 3D 모델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포토그래미트리의 기본 원리는 삼각측량으로, 여러 이미지에서의 시선의 교차점을 사용하여 객체의 점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합니다. 이 방법은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정확한 측정과 3D 재구성이 가능합니다.

사진측량 기술

작동 원리

이미지 캡처

포토그래미트리 기능의 첫 번째 단계는 다양한 각도에서 물체나 장면의 겹치는 사진을 일련으로 캡처하는 것입니다. 이를 표준 디지털 카메라, 드론, 또는 특수 사진 측량 카메라를 사용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삼각 측량을 위해 이미지 간 충분한 중첩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프트웨어 처리

이미지를 촬영한 후, 포토그래미트리 소프트웨어로 가져옵니다. 소프트웨어는 겹치는 이미지에서 공통점을 식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정렬합니다. 그런 다음, 물체의 각 점에 대한 정확한 3D 좌표를 계산합니다.

3D 모델 생성

이미지를 처리한 후, 소프트웨어는 물체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는 추가 처리를 통해 상세한 3D 메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원본 이미지를 활용해 텍스처 맵핑을 적용하면, 모델에 사실적인 색상과 세부 정보를 더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 생성

레이저 스캐닝이 무엇인가요?

레이저 스캐닝은 레이저로 물체를 비추고 반사된 빛을 분석하여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대상 물체의 형상과 특징에 대한 정밀한 3차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스캐닝의 핵심 원리는 비행 시간(Time-of-Flight)로, 레이저 빔이 발사된 후 스캐너의 센서로 반사광이 수신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표면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기술은 매우 정확한 3D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작동원리

레이저 방출

레이저 빔을 발사하여 대상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3D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레이저 스캐너는 한 번의 스캔으로 넓은 영역을 측정할 수 있으며, 스캐너 내부에는 회전 거울이나 프리즘 같은 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레이저 빔을 여러 방향으로 조정하여 물체의 전체 형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3D 스캐너 레이저 방출

거리 측정

레이저를 방출하여 물체의 표면을 비추면, 레이저 빔이 스캐너 센서로 다시 반사됩니다. 스캐너는 각 빔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며, 이를 비행 시간(Time of Flight)이라고 합니다.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각 거리 측정값은 3D 좌표계의 한 점으로 기록됩니다. 이러한 점들의 집합은 스캔된 물체나 환경의 표면 기하학을 나타내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형성합니다. 포인트 클라우드는 수백만에서 수십억 개의 개별 포인트를 포함하여 스캔한 영역을 매우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로의 전환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3D 모델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는 노이즈와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 필터링 및 정리가 포함되며, 이어서 포인트 클라우드를 연속적인 메쉬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됩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3D 모델은 원래 물체나 환경을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디지털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3D 데이터 처리

주요 차이점

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토그래미트리와 레이저 스캐닝 사이의 결정은 정확도, 예산, 처리 시간 및 사용자 전문 지식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들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Key Differences Photogrammetry Laser Scanning
Data Acquisition Relies on photographs Uses laser beams
Accuracy and Precision Dependent on camera qua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Generally more precise, less influenced by lighting conditions
Equipment and Cost Requires a good quality camera and software, generally lower cost Requires specialized laser scanners, higher initial investment
Processing Time It can be slower due to extensive image processing Typically faster in data capture but requires robust processing power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More accessible for beginners, less training required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and training

장점과 단점

포토그래미트리

장점 :

비용 효율적: 포토그래미트리는 레이저 스캐너에 비해 최소한의 투자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품질의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시작하기에 충분하므로 취미로 하는 사람이나 중소기업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연성: 이 방법은 매우 적응력이 뛰어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넓은 영역은 물론 작고 복잡한 형상을 캡처하는 데 적합합니다.

비의존적: 포토그래미트리는 사진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링되는 물체와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습니다. 포토그래미트리를 사용하면 물체의 원래 상태를 보존하면서도 그 형태와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어 섬세한 유물이나 문화재와 같은 손상에 민감한 대상에 적합합니다. 

포토그래미트리 기술

단점

정확도 저하: 포토그래미트리는고정밀 모델을 생성할 수 있지만, 사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세부적인 디테일이나 복잡한 표면에서는 레이저 스캐닝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환경 요인: 조명 조건이나 물체의 표면 특성에 따라 정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사성이 강한 표면이나 투명한 물체는 캡처하기 어려워, 정확한 3D 모델을 생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처리 시간: 사진을 촬영한 후 3D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특히 많은 사진을 처리할 경우 컴퓨터 성능에 따라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스캐닝

장점 

높은 정밀도: 레이저 스캐닝은 매우 정확한 3D 측정이 가능하여, 엔지니어링, 건축 및 품질 관리와 같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 적합합니다.

복잡한 구조에 적합: 레이저 스캐너는 포토그래미트리로는 어려운 불규칙한 표면과 미세한 특징을 포함한 복잡한 형상을 효과적으로 캡처할 수 있습니다.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음: 레이저 스캐닝은 주변 조명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낮은 조명 또는 조명이 없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캡처할 수 있으며, 정확도를 저하시키지 않습니다.

 레이저스캐닝

단점

높은 비용: 3D 레이저 스캐닝 장비의 초기 구입 비용은 포토그래미트리에 비해 상당히 높습니다. 이는 3D 스캐너 자체의 가격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비용도 포함됩니다.

전문 장비 및 교육: 물체를 스캔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이 요구됩니다.

3D 프로젝트에 더 적합한 기술은?

3D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기술을 선택하려면, 3D 스캐닝과 포토그래메트리 각각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두 기술의 선택은 모델링하려는 영역의 크기와 필요한 정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고도의 세부적인 정확도가 필요하지 않은 소규모 프로젝트라면, 예를 들어 3D 모델의 시각화나 기본적인 치수 측정 등의 용도로는 포토그래메트리가 적합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은 구현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예를 들어, 건축 공학과 도시 계획에서는 포토그래메트리로 정밀한 3D 모델을 생성하여 건축 설계, 토지 개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화유산 보존과 고고학 분야에서 포토그래메트리는 역사적 유물과 기념물의 디지털화 및 보존에 활용되며, 고대 건축물이나 유적지 연구에도 유용합니다. 영화 제작과 게임 개발에서는 포토그래메트리를 통해 사실감 넘치는 가상 장면과 캐릭터 모델을 만들어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정밀이 요구되는 대규모 프로젝트,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조사, 도시 계획, 건축 보존 등에서는 레이저 스캐닝이 우수한 정확도와 복잡한 구조를 캡처할 수 있어 선호될 수 있습니다.

트래커 3D 스캐너

역설계

부품 설계에서 정확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부품을 역설계하거나 정밀한 일치가 필요한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이러한 수준의 정확도를 달성하려면 3D 스캐닝이 필요합니다. 포토그래메트리를 사용할 경우, 작은 오차라도 설계나 전체 측정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건축 설계에서 이 점이 중요합니다.

부품 3D 검사

부품 검사

역설계와 마찬가지로 부품 검사에도 3D 스캐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부품이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려면 높은 정확도가 필수적입니다. 포토그래메트리와 같은 낮은 정확도의 기술을 사용하면 측정 결과가 신뢰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3D 스캐닝 역설계

결론

이번 글에서는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두 가지 강력한 기술, 포토그래매트리와 레이저 스캐닝의 차이점을 살펴보았습니다. 프로젝트의 규모, 요구되는 정확성, 예산, 사용 가능한 장비 및 기술 수준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두 기술 중 적합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각 기술은 고유의 장점과 한계를 지니고 있어,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단일 솔루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각 독자분들이 포토그래매트리와 레이저 스캐닝의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한 뒤,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시길 권장합니다.

만약 개인적 또는 전문적 용도로 3D 스캐닝 장비 구매를 고민 중이시라면, 저희 전문 서비스팀에 상담을 요청하시거나 당사의 제품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스캔테크는 다양한 3D 스캐너와 시스템을 제공하며, 고객이 필요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전문 엔지니어들이 신뢰할 수 있는 조언과 지원을 제공합니다.

privacy settings Privacy settings
Manage Cookie Consent
To provide the best experiences, we use technologies like cookies to store and/or access device information. Consenting to these technologies will allow us to process data such as browsing behavior or unique IDs on this site. Not consenting or withdrawing consent, may adversely affect certain features and functions.
✔ Accepted
✔ Accept
Reject and close
X